
큐루루루~. 갑자기 울리는 배고픔의 신호. 시간과 장소를 고려하지 않는 것이 문제이다.
부끄러운 생각을 하고 싶지 않으니 배가 왜 울리는지, 배를 울리지 않을 방법은 없을까? 평소처럼 알아보기로 했다.
사람의 위와 소장은 음식이 비면 위와 장이 주기적으로 수축운동을 시작한다. 이 수축으로 만들어진 공간으로 공기나 위액, 장액이 흘러들어갈 때 ‘욱신욱신’ 소리가 난다는 것이었다. 좁은 공간에 공기가 드나들 때 소리가 난다는 것은 방귀나 트림과 같은 구조이다.
이 수축운동은 공복뿐만 아니라 식후에도 활발해질 수 있다고 한다. 식사 후에, 특히 음식 뿐만 아니라 가스도 발생하기 때문에, 수축 운동은 그것을 배출시키기 위해 활발해진다.
그것은 식사 전뿐만 아니라 식사 후에도 복통에 주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복통 예방으로는 세끼를 든든하게 먹는 것. 고기와 채소는 소화가 빨리 되는 빵이나 쌀과 같은 탄수화물보다 더 오래 소화되기 때문에 배고픔을 느끼는 것이 더 느리다. 소화에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지방이기 때문에 복통이 걱정될 때는 미리 견과류나 초콜릿을 적당량 챙겨두는 것도 예방책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항상 위에 음식이 있는 상태에서는 위에 대한 부담이 커진다. 비만과 당뇨병의 위험도 높아지기 때문에, 복통 예방이라고는 하지만 간식은 어디까지나 적정량으로 하고 싶은 곳이다. 게다가 빨리 먹거나 탄산음료로 공기를 많이 마시는 것도 복통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하니 배가 울릴 염려가 있을 때는 자제하는 것이 좋다.
식전 식사 외에도 배가 울리기 쉬운 사람은 병의 가능성도 있다고 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정신적 스트레스나 과도한 긴장으로 인해 장 운동의 이상이나 지각 과민이 일어나 과민성 장 증후군을 앓고 있는 경우도. 그러면 복통이나 불쾌감에 더해 복통이 있는 경우도. 그런 경우에는 치료나 약제로 완화될 수도 있으니 병원에서 진찰을 받읍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