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이섬유에는 2종류가 있다
장수에 효과가 있을지 모르는 식이섬유이지만 식이섬유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물에 녹는 수용성 식이섬유와 물에 녹지 않는 불용성 식이섬유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과일·채소에 포함된 펙틴과 다시마·미역의 미끈미끈한 성분인 알긴산 등이 있는데, 이름 그대로 물에 녹아 젤리 형태가 되는 성질이 있다.
특징으로는 소장에서 영양소 흡수를 완만하게 하기 때문에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거나 콜레스테롤을 흡착하기 위해 콜레스테롤을 체외로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또 나트륨을 배출해주기 때문에 고혈압 예방 효과도 있다.
한편 불용성 식이섬유에는 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고 있는 셀룰로오스와 게·새우 껍질에 포함된 키친 등이 있다.
특징으로는 수분을 흡수해 대변 부피를 늘림으로써 대장을 자극해 배변을 원활하게 해준다.또 유해물질을 흡착해 대변과 함께 몸 밖으로 배출해주기 때문에 장내를 깨끗하게 하고 대장암 위험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두 식이섬유 모두 건강에는 지장이 없다는 것인가.양쪽을 균형 있게 섭취하는 것이 중요해질 것이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
그렇다면 어떤 음식에 식이섬유가 많이 들어 있을까.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을 장르별로 정리해 소개하자.
① 채소류
무말랭이·그린피스·모로헤이야·우엉·시금치
② 과일류
곶감 곶감 무화과·푸른·아보카도·사과·바나나·딸기
③ 버섯류
건조 목이버섯, 말린 표고버섯, 나메코, 혼시메지
④ 콩류
콩가루·팥·완두콩·강낭콩·낫토
⑤ 해조류
톳·김·미역·다시마
⑥ 곡류
오트밀 호밀빵 메밀국수 중화면 감자
이렇게 살펴보면 다양한 식품에서 식이섬유가 섭취되는 것을 알 수 있다.특히 해조류에는 더 많은 식이섬유가 포함돼 있다.그렇게 생각하면 된장국이나 톳 조림 등 일식이 장수 비결이 될지도 모른다.
정리
식이섬유로 장수할 수 있는 가능성.사망률이 23%나 떨어진다는 것이 정말인가…라는 잡학정리
이번에는 식이섬유를 늘림으로써 장수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잡학에 대해 소개했다.
식이섬유를 하루 10g 늘리면 사망률이 11%나 감소한다는 사실에 상당히 놀랐다.여기까지 확연한 차이가 나는 것은 충격적이다.
오래 살고 싶은 사람은 식이섬유가 많은 식생활로 전환해 보는 것은 어떨까.내친김에 대변도 좋아질테니 시험해보고 손해는 없을거야.
나도 우엉·무·낫토 등은 자주 먹고 있지만, 해조류가 부족한 것 같아서 조금 재검토해 보려고 한다.